IB MYP(Middle Years Programme)의 마지막 학년인 MYP 5(보통 만 15~16세)에서 모든 학생이 수행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과제가 있습니다. 바로 **Personal Project(개인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과제가 아니라, IB 교육의 핵심 가치인 자기주도적 학습과 탐구 역량, 창의성, 그리고 반성적 사고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대표 활동입니다. 5년 동안 MYP를 거친 학생들이 ‘이제 나는 스스로 배우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이다’라는 것을 스스로 증명하는 성장 포트폴리오의 결정판이라 할 수 있습니다.
🎯 Personal Project의 목적과 철학
Personal Project는 말 그대로 학생 스스로 주제를 정하고, 스스로 계획하고, 스스로 결과를 만들어내는 프로젝트입니다. 학교나 교사로부터 주제가 주어지지 않으며, 반드시 개인의 흥미와 관심사를 바탕으로 시작합니다. IB의 교육 철학은 지식의 양이 아니라 배움에 대한 태도와 탐구하는 자세를 키우는 데 있습니다. 따라서 Personal Project는 학생 개개인이 무엇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그 관심을 어떻게 구체화하고 실행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매우 개인적인 여정입니다.
예를 들어,
- 동물 보호에 관심이 많은 학생은 유기 동물 인식 개선을 위한 인스타그램 캠페인을 기획할 수 있고
- 게임을 좋아하는 학생은 직접 게임을 디자인하거나, 게임이 청소년 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수도 있습니다
- 요리에 관심이 있는 학생은 지역 전통 음식을 재해석한 요리책을 제작할 수도 있습니다
이 모든 과정은 ‘얼마나 거창한 주제를 골랐는가’가 아니라, 얼마나 진지하고 성실하게 탐구했는가를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 프로젝트의 구성과 진행 절차
Personal Project는 보통 약 6개월에 걸쳐 단계적으로 진행되며, 전체는 다음과 같은 4단계로 구성됩니다:
- 조사 및 계획(Investigating & Planning)
- 관심 분야를 탐색하고 구체적인 목표 설정
- 조사 계획 수립, 정보 출처 확보
- ‘학습 목표’와 ‘최종 산출물’의 명확화
- 실행(Taking Action)
- 실제 산출물을 제작하거나 활동을 수행
- 계획에 따른 일정 관리, 예산 사용, 자료 정리 등
- 반성(Reflecting)
- 자신의 학습 과정과 결과를 되돌아보고
- 목표 달성 여부, 어려웠던 점, 극복 과정 등을 정리
- 보고서 작성 및 제출(Reporting)
- 최종 산출물과 함께 **프로세스 저널(Process Journal)**과
최종 보고서(Final Report) 제출 - 일부 학교에서는 전시회(Personal Project Exhibition)를 통해 결과를 공유
- 최종 산출물과 함께 **프로세스 저널(Process Journal)**과
이 전 과정은 교사의 일방적 지도 없이, 학생이 자기주도적으로 이끌고 교사는 멘토 역할만 수행합니다. 또한 ATL(Approaches to Learning) 기술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명확히 보여주어야 하므로, 계획과 실행, 성찰에 대한 기록을 꼼꼼히 남기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평가 기준과 성공적인 프로젝트의 조건
Personal Project는 다음과 같은 **4개의 평가 기준(Criteria A~D)**에 따라 평가됩니다:
- A: 목표 설정(MIP: Investigating)
프로젝트 주제 선정과 조사 계획, 목표의 명확성 - B: 계획 및 실행(Planning & Taking Action)
실행 계획, 일정 관리, 문제 해결력 - C: 반성(Reflecting)
학습 과정에 대한 성찰, 자기 인식, 교훈 - D: ATL 기술 적용(Applying ATL Skills)
사고력, 자기관리, 조사력, 커뮤니케이션 등 활용도
각 기준은 08점 척도로 평가되며, 총합 점수를 통해 17의 MYP 점수로 변환됩니다. 점수 외에도, 이 프로젝트는 이후 IB DP 지원이나 대학 입시용 포트폴리오에도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성공적인 Personal Project를 위해선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중요합니다:
- 진짜로 관심 있는 주제를 선택할 것 (억지로 하면 과정이 고통스럽고 얕아짐)
- 최종 결과물뿐 아니라 ‘과정’을 기록할 것 (실패, 수정, 갈등도 포함)
- ATL 기술을 의식적으로 적용하고, 그에 대한 성찰을 포함할 것
- 멘토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적극적으로 할 것 (고립되지 말고 조언 받기)
👪 부모는 어떻게 도와야 할까?
Personal Project는 철저히 ‘학생의 것’이기 때문에 부모가 직접 개입하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녀가 자기 주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 진심 어린 관심과 격려를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큰 힘이 됩니다.
- “이 주제를 왜 선택했어?”
- “그걸 하려면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
- “중간에 힘들었을 땐 어떻게 극복했어?”
이런 질문을 통해 자녀가 자신의 과정을 되돌아보고, 말로 정리하는 경험은 보고서 작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실패했거나 계획대로 되지 않은 부분이 있어도 “그래서 어떤 걸 배웠니?”처럼 과정 중심의 관점을 유지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결과보다 과정을 통해 어떤 사람이 되었는지를 돌아보는 여정이기 때문입니다.
'IB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P 시기, 사춘기와 학습 동기 어떻게 잡을까? (1) | 2025.06.04 |
---|---|
IB MYP의 Service as Action이란? 실천 중심 교육의 본질 (2) | 2025.06.03 |
IB MYP의 핵심 역량, ATL이란 무엇인가? (1) | 2025.06.03 |
IB MYP에서 수행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1) | 2025.06.03 |
MYP에서 자기주도학습은 어떻게 길러지나? (0) | 2025.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