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 MYP(Middle Years Programme)에서는 ‘시험’보다 더 중요한 것이 바로 **수행평가(Assessment Task)**입니다. 한국식 교육에서 수행평가는 보조적인 평가 수단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지만, MYP에서는 수행평가가 핵심 평가 수단이자 학습 그 자체의 연장선입니다. 단순히 결과물의 완성도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과제를 해결하기까지의 탐구 과정, 비판적 사고, 자기 성찰, 커뮤니케이션 능력까지 종합적으로 들여다보며 평가합니다. 이 글에서는 MYP에서 수행평가가 어떤 철학 아래 설계되고,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로 진행되는지, 그리고 학부모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까지 상세히 안내합니다.
📚 수행평가, MYP에서는 왜 중요한가?
IB는 평가를 단순한 점수 측정이 아닌 학습의 연장선으로 봅니다. 다시 말해, ‘무엇을 얼마나 많이 외웠는가’보다 ‘어떻게 사고하고 표현하며 성장하고 있는가’를 보려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수행평가는 일회성 테스트가 아니라 학생의 탐구 능력, 협업, 자기주도성, 표현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됩니다.
모든 MYP 과목은 IB에서 지정한 **4개의 평가 기준(Criteria A~D)**을 기반으로 수행평가가 진행됩니다. 예를 들어 MYP 영어(Language and Literature) 과목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이 있습니다:
- A: 분석 (텍스트 분석력)
- B: 조직 (논리적 글 구성)
- C: 스타일 (글의 표현력)
- D: 언어 사용 (문법, 어휘 활용 등)
학생은 한 학기 동안 이 기준에 기반한 다양한 수행과제를 경험하게 되며, 교사는 이 과정을 통해 학생이 얼마나 균형 잡힌 역량을 갖추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이 평가 구조는 MYP만의 독창적인 강점이자,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는 교육 품질을 유지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 과제의 형태: 일방적인 문제 풀이가 아니다
MYP 수행평가는 교과별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특히 실제 상황과 연결된 과제가 많다는 점, 그리고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 구조가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수학 과목에서는 단순히 방정식을 푸는 것이 아니라, ‘우리 학교 급식 비용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예산안을 제시하라’는 식의 수학적 모델링 과제가 나올 수 있습니다. 영어 과목에서는 특정 문학작품을 해석하는 것을 넘어, 그 작품의 사회적 맥락과 나의 시각을 연결하여 글을 쓰는 것이 과제가 되기도 합니다.
예시로 볼 수 있는 수행평가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프레젠테이션 / 디베이트: 스피치 능력과 사고 정리를 함께 평가
- 에세이 / 기사 / 창작 글쓰기: 주제 분석, 논리 구성, 자기 생각 표현
- 포스터 / 인포그래픽 제작: 시각적 표현을 통한 정보 전달 능력
- 과학 실험 보고서: 실험 설계, 자료 해석, 결론 도출까지 포함
- 조사 프로젝트: 사회·역사적 현상 분석 및 해결 방안 제시
이처럼 과제는 학생 개개인의 표현 방식과 흥미, 학습 스타일을 반영할 수 있도록 유연하고 창의적으로 설계되며, 학생은 선택의 폭 안에서 자기주도적 탐구 경험을 하게 됩니다.
🧭 평가 기준과 루브릭: 투명하고 체계적인 구조
IB MYP 수행평가는 단순히 ‘잘했다’, ‘못했다’는 방식이 아니라, 명확한 루브릭(채점 기준표)에 따라 점수를 부여합니다. 각 기준(Criteria AD)은 08점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학교는 매 학기마다 각 기준을 최소 한 번 이상 평가하도록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이 점수는 결국 32점 만점의 ‘총합 점수’로 변환되고, 최종적으로 IB 점수 환산기준에 따라 1~7점의 MYP Grade로 변환됩니다.
이 루브릭은 학생과 학부모에게도 공개되며, 평가가 끝난 후 교사는 피드백을 포함한 평가표를 공유합니다.
예를 들어, 영어 과제의 Criterion B(조직력)에서 6점을 받은 경우, 루브릭은 다음과 같은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 “주요 아이디어가 논리적으로 잘 연결되어 있으며, 전체적인 글의 흐름이 명확하다.”
- “도입과 결론이 효과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단 전개에 일관성이 있다.”
이처럼 평가 기준이 투명하게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학생은 단순한 점수보다 어떤 부분에서 성장했고 무엇을 보완해야 할지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고, 학습의 다음 단계를 스스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
👪 학부모의 역할: 성적보다 피드백에 집중하자
많은 학부모가 MYP 수행평가를 ‘성적을 결정짓는 중요한 과제’로 받아들이고, 결과에만 집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IB 교육의 본질은 과정 중심 평가에 있으며, 이 시기에는 학생의 성장 가능성과 태도 변화에 주목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수행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고 해도, 그 이유를 분석하고 다음 과제에서 개선하는 경험 자체가 학습의 일부입니다.
부모가 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지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녀가 수행과제를 시작할 때 “왜 이 주제를 선택했어?”와 같이 내적 동기를 자극하는 질문을 던지기
- 평가가 끝난 뒤 “무슨 피드백 받았어?”, “이번에 느낀 점은 뭐야?”와 같이 자기 성찰을 유도하는 대화 시도
- 과제 제출 전, 단순한 맞춤법 검토보다는 논리 흐름, 자료 활용, 생각 정리 방식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기
이런 방식은 단지 과제 완성을 돕는 것을 넘어서, 자녀가 자신의 학습을 주체적으로 바라보는 습관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점수만을 목표로 할 경우 오히려 아이는 안전한 정답만을 추구하게 되고,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하게 되는 경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
'IB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P의 Personal Project란? IB 중등 교육의 하이라이트 (1) | 2025.06.03 |
---|---|
IB MYP의 핵심 역량, ATL이란 무엇인가? (1) | 2025.06.03 |
MYP에서 자기주도학습은 어떻게 길러지나? (0) | 2025.06.03 |
MYP 영어, 수학 과목은 어떤 수준일까? (0) | 2025.06.03 |
MYP의 과제 평가 방식 – Rubric과 Criterion 구조 (0) | 2025.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