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 MYP 교육과정은 단순히 ‘무엇을 배웠는가’보다는 ‘어떻게 배웠는가’, 그리고 ‘그 배움이 앞으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를 강조합니다. 이 철학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도구가 바로 **ATL(Approaches to Learning)**입니다. ATL은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협력하며, 평생학습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역량 체계입니다. IB에서는 이 ATL을 통해 학생들이 교과 지식 외에도 학습 기술, 사고 습관, 자기 인식 능력을 함께 발전시킬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접근을 제공합니다.
🌱 ATL이란 무엇인가? IB 교육의 숨은 중심축
ATL은 직역하면 ‘학습 접근 방식’이지만, 실제로는 학생이 학습에 접근하는 능력, 태도, 전략 전반을 아우르는 개념입니다. IB는 교과 지식만큼이나 학습 방법 자체를 가르쳐야 한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ATL을 모든 과목, 모든 활동 속에 통합해 놓았습니다. IB Learner Profile이 학생의 인성과 가치관을 키우는 틀이라면, ATL은 실질적인 행동과 기술을 훈련하는 틀이라 볼 수 있습니다.
ATL은 크게 다섯 가지 주요 범주(Category)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사고 기술(Thinking skills)
- 조사 기술(Research skills)
- 소통 기술(Communication skills)
- 자기관리 기술(Self-management skills)
- 사회성/협력 기술(Social skills)
이 다섯 가지는 다시 세부 기술들로 나뉘며, 각 과목과 프로젝트 활동 속에서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과학 수업에서는 조사 기술이, 역사 발표에서는 소통 기술이, 시험 준비 중에는 자기관리 기술이 두드러지게 요구됩니다.
🔍 ATL은 어떻게 적용되나? 수업과 과제를 관통하는 전략
ATL은 별도의 수업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수업과 수행평가 전체에 걸쳐 통합적으로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소설을 분석하며 토론하는 수업에서는 자연스럽게 ‘비판적 사고(Thinking)’와 ‘소통 기술(Communication)’이 함께 훈련됩니다. 또 조사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정보 출처의 신뢰성 판단’이나 ‘자료 정리 방법’을 배우는 과정에서는 조사(Research) 및 자기관리(Self-management) 역량이 동시에 다듬어집니다.
교사들은 수업 계획 시 ATL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며, 학생들이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어떤 ATL 기술을 연습하고 성장시키는지 피드백을 줍니다. 예를 들어 한 학기 프로젝트가 끝난 뒤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자기 성찰을 하게 됩니다:
- 이 과제에서 가장 많이 활용한 ATL 기술은 무엇이었나?
- 어떤 기술은 아직 익숙하지 않았으며, 어떻게 보완할 수 있을까?
- 앞으로 어떤 상황에서 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을까?
이러한 반복 학습 구조는 학생이 기술 자체를 ‘지식처럼 외우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과 연결된 도구로 체득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 각 기술 범주별 예시와 실천 방법
- 사고 기술 (Thinking)
- 비판적 사고, 창의력, 메타인지
- 예: “이 주장에 반대 입장을 제시할 수 있을까?”, “다른 해결 방법은?”
- 조사 기술 (Research)
- 정보 찾기, 출처 판단, 데이터 분석
- 예: “구글에서 찾은 정보와 도서관 자료 중 무엇이 더 신뢰할 수 있을까?”
- 소통 기술 (Communication)
- 발표 능력, 작문 능력, 경청 기술
- 예: “내 생각을 정확히 전달했는가?”, “다른 사람의 말을 요약할 수 있는가?”
- 자기관리 기술 (Self-management)
- 시간 관리, 목표 설정, 스트레스 조절
- 예: “과제 마감까지 어떤 계획이 필요할까?”, “긴장될 때 나는 어떻게 대처하지?”
- 사회성 기술 (Social)
- 팀워크, 갈등 해결, 책임 공유
- 예: “팀 내에서 내가 맡은 역할은?”, “갈등이 생겼을 때 나는 어떻게 해결했는가?”
이 다섯 범주는 학생들이 IB MYP를 넘어, IB DP, 대학 생활, 더 나아가 사회생활 전반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이 가능성이 매우 높은 기술들입니다.
👪 부모는 ATL을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ATL은 교실 안에서만 훈련되는 기술이 아닙니다. 가정에서의 대화, 생활 습관, 사소한 경험 하나하나가 모두 ATL 기술을 강화하거나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부모가 직접 기술 교육을 할 필요는 없지만,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자녀의 ATL 성장을 도울 수 있습니다:
- “시간이 부족할 땐 어떤 방식으로 계획을 세우니?” → 자기관리 기술
- “오늘 조사한 자료 중 어떤 게 제일 신뢰할 수 있었어?” → 조사 기술
- “이번 팀 활동에서 너의 역할은 뭐였어?” → 사회성 기술
- “이번 과제를 하며 네 생각이 어떻게 바뀌었니?” → 사고 기술
이처럼 단순한 질문 하나로도, 자녀는 자신의 학습 과정을 돌아보고 기술 습득의 의미를 인식하게 됩니다. 또한 ATL은 ‘성공’보다 ‘성장’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부모 역시 결과보다 과정 중심의 피드백을 줄수록 효과적입니다. 특히 사춘기 자녀와의 대화에서 ATL은 갈등 대신 협력적 관계로 이끄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IB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IB MYP의 Service as Action이란? 실천 중심 교육의 본질 (2) | 2025.06.03 |
---|---|
MYP의 Personal Project란? IB 중등 교육의 하이라이트 (1) | 2025.06.03 |
IB MYP에서 수행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1) | 2025.06.03 |
MYP에서 자기주도학습은 어떻게 길러지나? (0) | 2025.06.03 |
MYP 영어, 수학 과목은 어떤 수준일까? (0) | 2025.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