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 교육

IB MYP의 Service as Action이란? 실천 중심 교육의 본질

여행재단사 2025. 6. 3. 22:08

B MYP(Middle Years Programme)는 단순한 학문적 지식 전달을 넘어, 학생이 지역사회 속에서 자신의 배움을 실천하는 것을 중요한 가치로 여깁니다.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활동이 바로 **Service as Action (행동으로 실천하는 봉사 활동)**입니다. 흔히 말하는 ‘자원봉사’와는 차원이 다른 이 활동은, 학생이 자신의 탐구를 실제 행동으로 확장시키는 IB 교육의 핵심 철학이자 인성과 시민성을 키우는 훈련입니다. 이 글에서는 Service as Action이 어떤 철학 아래 운영되며, 학생들에게 어떤 성장 기회를 제공하는지, 그리고 학부모는 어떤 방식으로 자녀를 도울 수 있는지 자세히 소개합니다.


🌏 Service as Action의 의미: 봉사를 넘은 실천적 학습

IB에서 말하는 Service는 단순히 ‘도움을 주는 행위’가 아닙니다. 그것은 학생이 자신의 배움을 실제 사회에 연결하고, 지역과 세계 속 시민으로서 책임감을 실현하는 과정입니다. Service as Action은 크게 다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1. 탐구(Inquiry) – 지역사회나 사회적 이슈에 대해 조사하고 이해하기
  2. 계획(Planning) – 실천 가능한 활동을 구상하고 준비하기
  3. 실행(Action) –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기기, 그리고 성찰하기

이때의 "Action"은 반드시 거창하거나 조직적인 것이 아니어도 됩니다. 중요한 건 학생이 자기주도적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그 문제에 대응하려는 태도와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탐구한 후, 학교에서 ‘제로 웨이스트 캠페인’을 진행
  • 지역 고아원에 책을 기부하기 위해 학교 행사에서 북마켓을 기획
  • 교내 환경 동아리에서 텃밭을 만들어 ‘푸드 마일’을 줄이는 실천 진행

즉, Service as Action은 지식이 ‘나와 무관한 정보’가 아니라 ‘내 삶을 움직이는 힘’이 되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 어떤 방식으로 운영될까? 정해진 활동이 아닌, 확장 가능한 경험

Service as Action은 교과와 별개로 독립된 활동이 아니라, 수업 속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확장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예를 들어 인문학 수업에서 ‘기아 문제’를 다뤘다면, 학생은 그 주제를 바탕으로 지역의 푸드뱅크와 협업해 기부 활동을 기획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IB 교육이 강조하는 학문과 삶의 통합적 접근을 잘 보여줍니다.

또한 IB는 Service 활동을 **'5가지 행동 유형(Action Types)'**으로 구분합니다:

  1. 직접적인 서비스(Direct Service) – 당사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활동
    예: 노인 요양원 방문, 아동 독서 멘토링 등
  2. 간접적인 서비스(Indirect Service) – 간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활동
    예: 거리 동물 보호소를 위한 모금 활동
  3. 옹호(Advocacy) –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인식 제고
    예: SNS 캠페인, 포스터 제작 등
  4. 연구 기반 서비스(Research Service) – 조사 후 제공한 정보로 문제 해결
    예: 마을 하천 오염도 분석 후 개선안 제안
  5. 창의 기반 서비스(Creative Service) – 예술적 접근을 활용한 봉사
    예: 뮤지컬 공연 수익을 기부, 벽화 그리기 등

학생은 이 중 한 가지 이상 형태의 서비스를 스스로 기획하고 실행하며, 자신의 가치관과 배움을 사회적 실천으로 연결하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IB MYP의 Service as Action이란

✅ 평가와 인증: 성찰과 기록이 핵심

Service as Action은 시험이나 점수로 평가되는 활동은 아니지만, 학생이 얼마나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실행하고, 반성했는지를 기록으로 남기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IB 학교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활동을 운영합니다:

  • 활동 계획서 작성: 활동 전 목표와 계획을 문서로 작성
  • 활동 사진 및 증빙 기록 제출
  • 성찰 리포트 작성(Reflection): 어떤 배움을 얻었는가? 어떤 어려움을 겪었고 어떻게 극복했는가?
  • 지도 교사나 활동 담당자의 코멘트 첨부

일부 학교는 포트폴리오 형식으로 정리된 Service 활동 기록을 학년 말에 제출하게 하며, 이는 학생 개인의 성장 기록이자 IB Learner Profile을 실천한 구체적 사례로 활용됩니다.

특히, MYP 마지막 해에 진행되는 Personal Project와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Service 활동은 매우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예를 들어, 환경 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학생이 Personal Project에서 지속 가능성 관련 주제를 선택하면, 더 깊이 있는 탐구와 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 부모는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Service as Action은 학생의 내면에서 동기와 의미를 찾아야 진짜 가치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가 해줄 수 있는 가장 큰 지원은 '주제 선정과 의미 발견'을 함께 고민해주는 것입니다.

  • “요즘 뉴스에서 본 것 중 마음에 남았던 건 뭐야?”
  • “네가 도와주고 싶은 대상이 있다면 누구일까?”
  • “그걸 위해서 지금 네가 할 수 있는 건 뭐가 있을까?”

이처럼 대화를 통해 자녀가 스스로 문제를 정의하고, 작은 실천을 상상하게 만드는 것이 Service 활동의 출발점입니다.

또한 실행 과정에서는 너무 간섭하지 않되, 자녀가 시행착오를 겪을 때 포기하지 않도록 옆에서 응원하는 ‘코치’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결과보다 네가 진심을 담아 한 경험이 더 소중해”라는 메시지는 성취 중심 교육에서는 얻기 힘든 배움의 본질을 자녀에게 심어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