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학부모가 IB 교육을 선택할 때 "전인적 성장"이라는 말을 듣습니다. 하지만 이 표현이 단지 좋은 말로 느껴질 뿐, 실제로 어떤 의미인지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PYP(Primary Years Programme)는 만 3세부터 12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며, IB 철학의 출발점이자 '전인적 인간' 양성을 위한 핵심 단계입니다. 이 글에서는 PYP 교육 철학에서 말하는 '전인적 성장'이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수업과 학교 문화에 녹아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전인적 성장의 핵심 – 지식, 기술, 태도의 균형
PYP는 단지 지식을 전달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오히려 지식(Knowledge), 기술(Skills), 개념(Concepts), 태도(Attitudes), 행동(Action)이라는 5가지 핵심 요소를 기반으로, 학생이 스스로 배우고, 이해하고, 실천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이 중 어느 하나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잡는 것이 전인적 교육의 시작입니다.
예를 들어, ‘기후 변화’를 주제로 한 유닛에서는 단순히 과학 지식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해석하고 발표하는 기술, 지속가능성이라는 개념, 지구에 대한 책임감이라는 태도, 그리고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행동까지 포괄됩니다. 이처럼 배움이 교과서 속에 머무르지 않고 삶과 연결되도록 설계된 것이 PYP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 학습자상(Learner Profile)과 인간상 교육
PYP에서 말하는 전인적 성장은 추상적 개념이 아닙니다. IB는 구체적인 10가지 '학습자상(Learner Profile)'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이상적인 글로벌 시민의 모습을 구현하고자 합니다. 사려 깊은(Reflective), 소통하는(Communicator), 지식 있는(Knowledgeable), 도전하는(Risk-Taker) 등의 특성은 학생이 배움 속에서 자연스럽게 기를 수 있도록 수업과 활동에 통합됩니다.
이 학습자상은 단순히 교실 벽에 붙어 있는 포스터가 아닙니다. 실제 수업 시간, 반성 활동, 친구와의 갈등 상황, 공동 프로젝트 속에서 교사와 학생이 계속해서 이 개념을 언급하고 실천합니다. 예를 들어, 발표를 두려워하는 아이가 용기를 내어 도전(Risk-taking)을 했을 때, 그 순간을 교사가 인지하고 피드백하는 것이 바로 전인적 성장을 실현하는 교육의 순간입니다.
- 평가조차 '인간 성장'에 초점을 둔다
PYP는 지필고사 중심의 평가 대신, 루브릭 기반의 수행 평가, 자기 성찰, 포트폴리오 방식으로 학생의 성장을 기록합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점수보다는 변화와 이해의 깊이입니다. 아이가 처음에는 질문을 두려워했지만, 유닛 후반부에는 스스로 질문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갖췄다면, 그것이 바로 성장입니다.
평가는 단순히 결과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과정 전반을 관찰하고 피드백하는 도구로 활용됩니다. 이런 구조 덕분에 학생은 실수를 실패로 받아들이지 않고, 배움의 일부로 이해하게 됩니다. 학부모에게는 '점수 없는 학교'가 불안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아이의 성장곡선을 더 면밀히 관찰하고 안내하는 체계라 할 수 있습니다.
- 학교 문화 자체가 교육의 연장선이다
PYP가 말하는 전인적 교육은 교과서나 수업 시간 안에만 존재하지 않습니다. 교실 배치, 교사와의 대화 방식, 급식실에서의 행동까지 모두가 교육적 맥락 안에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갈등이 발생했을 때 교사는 단호한 징계보다 상황을 함께 분석하고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를 통해 아이는 타인을 이해하는 힘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게 됩니다.
또한, 학교 전체가 Inquiry(탐구) 문화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는 끊임없이 질문하고, 연결하고, 깊이 있게 생각하는 태도를 기르게 됩니다. 전인적 교육이란 시험을 잘 보는 아이가 아니라, 질문할 줄 알고, 협력할 줄 알고, 반성할 줄 아는 인간으로의 성장을 의미하며, PYP는 이를 위해 일관된 시스템과 문화를 제공합니다.
PYP에서 말하는 '전인적 성장'은 교육의 이상이 아니라, 교실 안에서 실현되는 현실입니다. 지식 전달 이상의 것을 목표로 하며, 아이가 스스로 배우고, 자기 생각을 표현하고, 사회와 연결되는 경험을 통해 진짜 배움을 이뤄가는 여정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이런 교육이야말로, 단단한 뿌리를 가진 아이를 키우는 가장 깊이 있는 방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IB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P 수업 시간표 공개 – 하루 일과 속 배움은 어떻게 일어날까? (1) | 2025.06.30 |
---|---|
유아기 탐구 기반 수업, 어떻게 이뤄지나 – PYP의 ‘Unit of Inquiry’ 구조 분석 (1) | 2025.06.30 |
IB 학부모 FAQ 20선 – 처음 시작하는 가족을 위한 핵심 가이드 (1) | 2025.06.19 |
IB 학교 입학 준비 체크리스트 – 입학 전 부모가 알아야 할 것들 (2) | 2025.06.19 |
IB 수학 트랙 완전 분석 – AA와 AI의 차이와 선택 기준 (0) | 2025.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