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 교육

IB 평가 방식의 모든 것 – 내부평가와 외부평가의 구조 이해

여행재단사 2025. 6. 12. 14:17

국제 바칼로레아(IB) 디플로마 프로그램(DP)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단일 시험에 의존하지 않는 평가 구조입니다. 학생의 다양한 역량을 다면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IB는 '내부평가(IA)'와 '외부평가(EA)'라는 두 축을 기반으로 성적을 산출합니다. 이는 지식의 습득뿐 아니라 사고력, 표현력, 자기주도성을 고르게 평가하기 위한 설계로, 전통적인 시험 중심의 교육과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IB 평가 방식의 구조와 특징, 실제 작동 방식까지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외부평가(External Assessment) – 시험을 넘어서는 구조

외부평가는 대부분의 과목에서 실시되는 공식 시험으로, IB 본부(IBO)에서 문제를 출제하고 채점까지 담당합니다. 일반적으로 DP 마지막 해 5월(또는 11월)에 진행되며, 객관식보다는 서술형, 분석형 문제로 구성되어 깊이 있는 사고와 표현 능력을 요구합니다. 과목에 따라 논술, 에세이, 계산문제, 텍스트 분석 등 다양한 유형의 시험이 포함되며, 전 세계 공통 기준으로 평가되어 공정성과 신뢰도가 매우 높습니다. 외부평가는 총점의 약 70~80%를 차지하는 핵심 요소로, 학생의 개별 학문 역량을 집중적으로 반영합니다.


내부평가(Internal Assessment) – 과정 중심의 평가

내부평가는 각 과목의 교사가 학생의 개별 과제 수행을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실험 보고서, 구술 발표, 리서치 프로젝트, 구체적 작품 등 과목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며, 보통 수업 중 또는 학기 중반에 수행됩니다. 예를 들어 생물학에서는 실험 리포트를, 수학에서는 수학 탐구 에세이를, 외국어 과목에서는 말하기 평가를 진행합니다. IB 본부는 이 내부평가 중 일부 샘플을 무작위로 받아 '조정(moderation)'을 거쳐 평가의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내부평가는 학생의 과제 완성도뿐 아니라, 주제 선정부터 탐구 과정, 성찰 능력까지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평가 점수 산출 방식 – 1~7등급의 의미

IB DP는 각 과목을 1점에서 7점까지 점수로 환산합니다. 7점은 최고 등급이며, 4점은 통과 기준입니다. 총 6과목의 점수(최대 42점)에 TOK, EE의 조합 점수(최대 3점)를 더해 총 45점 만점 체계입니다. 각 과목은 외부평가와 내부평가를 비율로 반영하며, 이 비율은 과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학과 과학은 외부평가 80%, 내부평가 20%, 예술 과목은 내부평가 비중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단일 시험이 아닌 복합적 평가 구조를 통해 학생의 다양한 능력을 포괄적으로 측정합니다.


IB 평가의 교육적 의미 – 단순 점수 이상

IB 평가 방식은 단순히 시험 점수로 학생을 평가하는 것을 넘어, 학습 과정을 중시하고 성찰적 사고를 장려합니다. 학생은 평가를 위해 지식을 반복적으로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문제에 적용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내부평가에서는 주제를 스스로 설정하고 과정을 계획하며, 외부평가에서는 글쓰기와 논증 능력을 갈고닦습니다. 이는 대학 진학 후에도 적응력이 높고, 자기주도 학습이 가능한 인재로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평가가 곧 학습의 연장선이 되는 IB의 방식은 진정한 의미의 '교육 평가'라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IB의 내부평가와 외부평가는 서로 보완적인 구조로, 학생의 다양한 역량을 입체적으로 평가합니다. 이는 단순한 지식 습득이 아닌, 진짜 '학습'을 유도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전통적인 교육 체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많은 학부모와 교육자들에게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