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 교육

IB 활동 정리의 기술 – 학생기록지와 포트폴리오 만들기

여행재단사 2025. 6. 12. 22:22

IB 프로그램은 단순히 시험 성적만으로 학생을 평가하지 않습니다. 특히 CAS(Creativity, Activity, Service)와 같은 핵심 요소에서는 학생의 다양한 활동 이력이 공식적인 평가 자료로 활용됩니다. 따라서 이 활동들을 구조화된 방식으로 기록하고, 학생기록지(Student Profile)나 포트폴리오 형태로 정리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IB 활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관리하는 실전 전략을 소개합니다.


왜 활동 정리가 중요한가? – 평가와 진로의 교차점

IB에서는 CAS 활동 외에도 EE(Extended Essay), TOK(Presentation), 봉사활동, 교내외 프로젝트, 클럽 활동, 대회 수상 등이 전반적인 학업성과의 일부로 간주됩니다. 이는 대학 입학 시에도 활용 가능한 자료가 되며, 자기소개서나 추천서 작성의 근거로도 쓰입니다. 따라서 정리되지 않은 활동은 평가자나 입학 사정관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노력에 비해 낮은 평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활동을 명확히 구조화하면, 같은 활동도 더 풍부하고 의미 있게 보일 수 있습니다.


IB 활동 정리의 기술 – 학생기록지와 포트폴리오 만들기
활동 정리의 실전 방법 – 카테고리화와 성찰 중심 서술

효과적인 활동 정리를 위해서는 단순 나열이 아니라 테마별 분류와 스토리텔링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리더십 활동", "커뮤니티 기여", "창의적 프로젝트"처럼 범주를 나누고, 각 활동에는 날짜, 소속, 역할, 기여 내용, 느낀 점을 포함해야 합니다. 특히 CAS 활동은 IB에서 요구하는 7가지 학습성과(learning outcomes)와 연결해 성찰적 글쓰기(reflection)가 핵심입니다. 활동 하나당 100~200자 수준의 간단한 메모라도, 이후 포트폴리오 작성 시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됩니다. 사진, 영상, 관련 기사 등을 함께 보관해두는 것도 추천됩니다.


디지털 툴 활용 – 구글 드라이브부터 ManageBac까지

많은 IB 학교에서는 활동 정리와 제출을 위해 ManageBac이라는 플랫폼을 사용합니다. 학생은 이곳에 활동을 입력하고, 지도교사의 승인을 받아 최종 제출합니다. 하지만 학교에 따라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개인이 직접 구글 드라이브나 Notion, Excel 등을 활용해 활동 로그(Activity Log)를 남기는 것이 좋습니다. 항목별로 폴더를 만들어 사진, 인증자료, 성찰문, 관련 문서를 정리해두면 입시에도 활용 가능한 포트폴리오가 됩니다. 대학 인터뷰나 입학에 활용할 수 있는 '비주얼 스토리'가 되는 것이죠.


대학 입시용 포트폴리오와의 연결 – CAS 이상의 의미

IB 활동 정리는 단순히 졸업 요건 충족을 넘어서, 대학 입시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자료가 됩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 전공을 희망하는 학생이라면 시각적 결과물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사회학 전공은 지역사회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포트폴리오가 구조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자기소개서나 면접에서도 스토리텔링이 더욱 효과적이며, 추천서를 요청할 때도 교사에게 더 명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결국 '내가 어떤 배움을 경험했고, 무엇을 행동으로 옮겼으며, 어떤 성장으로 이어졌는가'를 명확히 보여주는 자료가 되는 것입니다.


이처럼 IB 활동 정리는 성적 이상의 가치를 지닌 학습 자산입니다. 단순한 목록이 아닌 나만의 성장 이야기로 정리된 포트폴리오는 학업뿐 아니라 진로 설계의 방향성까지 제시해주는 중요한 도구로 작용합니다. 초기에 조금만 신경을 써서 기록 습관을 들인다면, 대학 진학의 문을 여는 강력한 열쇠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