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 교육

MYP의 8개 학습 영역과 핵심 교과목 설명

여행재단사 2025. 6. 3. 02:30

국제 바칼로레아(IB)의 중등 교육과정인 MYP(Middle Years Programme)는 만 11세부터 16세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성되며, IB 교육 전체 구조에서 매우 중요한 연결 고리 역할을 합니다. PYP에서 배운 탐구 중심 학습을 기반으로, 보다 구조화된 과목 학습과 평가 기준이 도입되는 시기로, 학문적인 깊이와 사고의 틀을 넓혀가는 시점입니다. 특히 MYP의 특징 중 하나는 **8개 학습 영역(subject groups)**을 균형 있게 이수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는 특정 과목만 잘하는 학생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균형 잡힌 사고력과 표현 능력을 가진 인재로 성장하도록 설계된 구조입니다. 이 글에서는 MYP의 8개 과목군이 각각 어떤 목표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구체적으로 소개합니다.


📘 1~4번 과목군: 언어, 인문, 과학, 수학의 기초 다지기

1. 언어와 문학(Language and Literature)
학생이 가장 익숙한 언어(모국어 또는 주 언어)로 구성된 과목군입니다. 문학 작품 분석, 창의적 글쓰기, 토론, 미디어 분석 등을 통해 비판적 사고와 언어 표현 능력을 기릅니다. 단지 문법과 어휘가 아니라, 언어를 통해 세상을 해석하는 훈련이 중심입니다.

2. 언어 습득(Language Acquisition)
두 번째 언어 학습을 다루는 과목으로, 영어권 국가에서는 프랑스어나 스페인어가,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영어가 해당될 수 있습니다. 언어적 유창성보다 의사소통을 위한 실용적 언어 능력과 문화 이해가 목표입니다. 학생 수준에 따라 Phase 1~6까지 단계별 수업이 제공됩니다.

3. 개인과 사회(Individuals and Societies)
역사, 지리, 정치, 경제, 사회학 등을 통합적으로 다루는 과목입니다. 단순히 사건을 암기하기보다 사회 현상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고,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며, 글로벌 시민의 관점에서 사고하는 훈련을 합니다.

4. 수학(Mathematics)
수학은 MYP에서도 매우 중요한 과목입니다. 개념 이해를 중시하며, 문제 해결, 논리적 추론, 수학적 모델링 등의 활동이 포함됩니다. 일반(Math Standard)과 심화(Math Extended) 두 가지 수준이 있으며, DP 과정에서의 수학 선택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 5~8번 과목군: 실험, 창의, 감성, 실용 능력 확장

MYP의 8개 학습 영역과 핵심 교과목 설명

5. 과학(Sciences)
물리, 화학, 생물학을 모두 포함하는 통합 과학 형태로 진행되며, 실험 중심의 수업이 많습니다. 가설 설정, 실험 설계, 데이터 해석 등의 활동을 통해 과학적 사고력과 탐구 기술을 배양합니다. 고학년으로 갈수록 개별 과목으로 분화되기도 합니다.

6. 예술(Arts)
시각 예술, 음악, 무용, 연극 등 다양한 예술 활동을 통해 자기 표현과 감성적 사고를 키우는 과목입니다. 창작 활동뿐 아니라 예술 감상, 비평, 과정 중심 포트폴리오 작성도 평가의 중요한 요소로 포함됩니다.

7. 체육과 건강(Physical and Health Education)
신체 활동을 통해 건강한 삶을 배우고, 팀워크, 자기 조절력, 스포츠 윤리 등을 익히는 과목입니다. 단순한 체육 시간이 아닌, 신체와 감정, 사회성의 통합적인 성장을 지향합니다.

8. 디자인(Design)
문제 해결 중심의 실용 과목으로, 제품 디자인, 디지털 디자인, 앱 개발, 그래픽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가 포함됩니다. 주어진 문제에 대해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제작하고, 피드백을 받아 수정하는 설계적 사고(Design Thinking) 훈련이 핵심입니다.


🎯 과목군의 균형과 통합 학습의 의미

MYP의 8개 과목군은 학생들이 특정 과목에 편중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사고력을 기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또한 IB 교육의 철학에 따라 각 과목은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고, **다른 과목과의 연결성(Interdisciplinary Learning)**을 기반으로 학습이 진행됩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 수업에서 환경 친화적 제품을 만들면서 과학과 연결되고, 해당 결과물을 발표하면서 언어와 문학 과목의 표현력도 함께 사용됩니다.

뿐만 아니라 MYP는 과목별 내용뿐 아니라 **‘전과목 공통 기술(Approaches to Learning, ATL)’**이라는 교육 목표를 통해, 모든 수업 안에 자기관리, 협업, 조사, 소통, 비판적 사고 같은 핵심 역량을 담아내도록 요구합니다. 이러한 점은 IB의 교육이 단순한 과목 성취를 넘어, 삶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 능력을 기르도록 설계되어 있음을 보여줍니다.


🧭 학생의 미래를 위한 과목군 설계 이해하기

학부모 입장에서 이 8개 과목군을 미리 이해하고 있다면, 자녀가 어떤 분야에 강점을 보이는지, 어떤 부분에서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한지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특히 MYP는 PYP에 비해 평가 구조가 분명하고 과목별 루브릭이 도입되는 시기이므로, 학업 부담이 커질 수 있는 단계이기도 합니다. 이때 단순히 성적 향상이 아니라, 각 과목에서 무엇을 배우는지의 본질에 집중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또한 이 8개 과목군은 DP(고등과정)에서의 과목 선택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MYP 단계에서의 관심사 탐색은 미래의 진로 설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아이가 수학과 과학에 흥미를 보인다면 STEM 진로로, 언어와 사회 과목에 강점을 보인다면 인문학 또는 국제관계 쪽으로 진로를 넓혀갈 수 있습니다. 결국 MYP의 8개 과목군은 단지 중등 교육의 구성 요소가 아니라, 학생이 스스로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설계해나가는 첫 번째 지도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