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바칼로레아(IB)의 초등과정인 PYP(Primary Years Programme)는 나이와 학년에 따라 학습 주제와 접근 방식이 체계적으로 달라집니다. 하지만 PYP는 전통적인 학년 구분보다는 발달 단계에 따른 탐구 능력을 기준으로 수업이 구성됩니다. 아이들이 나이를 먹을수록 단순한 호기심에서 출발한 질문은 점점 더 깊이 있고 복합적인 탐구로 발전하게 되며, 교사는 이러한 흐름에 맞춰 수업을 설계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PYP의 학년별 수업 특징과 함께, 실제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예시를 소개해, IB 교육이 실질적으로 어떤 모습으로 펼쳐지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유아기(만 3~5세): 놀이 기반 탐구와 정서적 안정
PYP의 유아기 교육은 정규 수업이라기보다는 ‘놀이와 탐색을 통한 배움’이 중심입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아직 언어 표현력이 제한적이고, 개념보다는 감각과 경험을 통해 세상을 이해합니다. 교사는 다양한 놀이 자료, 이야기, 음악, 미술 활동 등을 통해 아이의 관찰력, 표현력, 감정 조절 능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둡니다.
예를 들어 ‘우리 주변의 동물’을 주제로 진행되는 유닛에서는, 아이들이 동물 그림을 보며 이름을 배우고, 동물 소리를 따라하거나, 동물의 움직임을 흉내 내는 역할극을 통해 수업이 이루어집니다. 여기에는 과학(생물 분류), 언어(단어 익히기), 미술(만들기), 체육(움직임 표현) 등의 요소가 자연스럽게 통합됩니다. 평가는 정답이 아닌 참여도와 표현력, 그리고 아이의 성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 저학년(만 6~8세): 관찰에서 질문으로, 개념적 탐구 시작
만 6세 전후의 저학년 학생들은 단순한 관찰에서 벗어나, ‘왜 그런가요?’라는 질문을 스스로 던지기 시작합니다. 이 시기의 PYP 수업은 보다 구조화되며, 유닛별 탐구 주제도 더 깊은 수준으로 확장됩니다. 학생들은 실제 사물이나 현상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고, 간단한 실험이나 발표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봅니다.
예를 들어 ‘날씨와 생활’이라는 주제를 다룰 경우, 아이들은 다른 나라의 날씨를 비교하거나, 자신이 사는 지역의 기후에 맞는 의상이나 활동을 조사해 포스터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수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지도 읽기, 시간 개념, 기본적인 통계 자료 읽기 등의 융합적 사고가 요구됩니다. 교사는 학생의 질문을 이끌어내고, 그 질문을 중심으로 수업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며, 아이는 점점 더 학습의 주체로 성장하게 됩니다.
📘 고학년(만 9~12세): 다중 관점과 협업 기반의 심화 학습
고학년에 해당하는 만 9세 이상의 아이들은 하나의 주제에 대해 다양한 관점으로 접근하는 능력이 발달합니다. 이에 따라 PYP 수업도 단순히 개념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 사회적 이슈, 도덕적 가치, 세계 시민 의식 등을 함께 다루게 됩니다. 학생들은 소그룹 토론, 역할극, 조사 보고서 작성 등을 통해 깊이 있는 학습을 경험하며, 점차 자기주도적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기르게 됩니다.
예를 들어 ‘공정한 교환과 경제’라는 유닛에서는 시장의 원리, 돈의 역할, 물물교환의 개념 등을 배우고, 실제로 모의 시장을 열어 친구들과 거래를 해보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이때 단순히 ‘경제’라는 지식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어떤 물건이 왜 더 가치 있는가’, ‘공정한 가격이란 무엇인가’ 등 철학적 사고와 윤리적 고민까지 다뤄집니다. 이처럼 고학년 수업에서는 아이들이 서로 다른 생각을 나누고, 타인의 관점을 존중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사회적 역량 또한 함께 길러지게 됩니다.
📌 학년별 접근이 아닌, 발달 중심 수업 설계
PYP는 학년을 기준으로 수업을 나누기보다는, 아이가 얼마나 자율적으로 사고하고 표현할 수 있는가에 더 큰 의미를 둡니다. 따라서 동일한 나이의 아이들이라도, 각기 다른 학습 스타일과 속도를 반영하여 맞춤형 수업이 가능합니다. 교사는 일률적인 수준에 맞춘 수업을 하지 않고, 유닛별로 다양한 난이도의 활동을 병행하여 모든 아이가 탐구의 주체가 되도록 돕습니다.
또한 학부모에게도 학년별 학습 결과보다, 과정 중심의 성찰 기록(Learning Journal), 발표회, 프로젝트 전시 등을 통해 아이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즉, PYP는 학년이라는 경계를 넘어서 아이 한 명 한 명의 학습 여정을 존중하며, 지식이 아니라 배움의 방식을 가르치는 데 집중합니다. 이런 교육이 반복될수록, 아이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단순히 똑똑한 학생이 아닌 깊이 있게 생각하고 소통할 줄 아는 인간으로 자라게 됩니다.
'IB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에서 할 수 있는 PYP형 활동 10가지 (2) | 2025.06.03 |
---|---|
PYP에서의 평가 방식 – 시험 없이 어떻게 측정할까? (0) | 2025.06.02 |
PYP의 핵심 개념: 탐구 중심 학습이란? (1) | 2025.06.02 |
IB 학교, 전 세계 어디에 있나? 지역별 IB 인증학교 지도 (2) | 2025.06.02 |
IB를 선택하면 좋은 아이 vs 맞지 않는 아이 (0) | 2025.06.02 |